[ 매드타임스 박재항 대기자]에이미 탠(Amy Tan)이란 미국의 유명 작가가 있다. 성(姓)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중국계 여성인데 1952년에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오클랜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중국계 이민자들이 몰려 바오슬롯 차이나타운에서 산 적이 거의 없이, 이사를 자주 다니기는 하였지만 주로 백인들의 거주지에서 자랐다. 그리고 중고교는 중국인이 거의 살지 않는 스위스의 한적한 곳에서 성장했다. 스위스의 외국인학교를 포함하여 영어를 제1 언어로 사용하는 학교에서 줄곧 공부했고, 대학은 미국 서부의 명문이라고 할 수 바오슬롯 버클리(Berkeley)로 진학했다.
그런 에이미 탠조차 영어로 문학을 하는 것은 포기하라는 얘기를 학창 시절에 선생님들께 들었다고 한다. 중국인들은 물리학이나 의학을 해야지, 미묘한 감정을 표현하는 데는 중국어를 쓰는 가정에서 자라난 에이미 같은 경우는 힘들다는 얘기였다. 그녀가 초등학교 때 도서관을 주제로 한 글쓰기 대회에서 지금 내가 보아도 감동적인 글로 상도 받는 등 어렸을 때부터 글쓰기에 재능을 보였음에도 선생님들에게 에이미 탠은 영어가 서툰 아이였다.
영어가 서툴다는 게 미국 영화에 나오는 아시아인들의 스테레오타입 중의 하나이다. 학생이면 공부를, 특히 수학이나 물리학을 잘하고, 요즘에는 게임의 고수로 등장한다. 갱스터 영화로 가면 총보다는 맨손이나 창검을 휘두르는 무술을 하는 쪽으로 나온다. 다른 인종에게도 이런 스테레오타입 이미지가 있고, 그에 맞는 배역을 소화한다. 흑인이면 마약 딜러 혹은 비슷한 깡패나 강도가 되고, 아랍계는 테러리스트에 종교 광신자, 러시아를 비롯한 동구권은 독재의 하수인이 된다.
광고나 영화에서 바오슬롯 이용 비중이 늘고 있다. 2027년이면 광고를 비롯한 마케팅을 위한 표현물의 90% 이상이 바오슬롯로 생성될 거라는 말이 있다. 가상 인물들을 써서 패스트푸드 광고를 한다고 하자. 점원의 모습을 이미지로 뽑아 달라고 바오슬롯에게 명령하면 어떤 사람으로 그려낼까? 블룸버그에서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이란 생성형바오슬롯에 패스트푸드점 점원의 컬러 이미지를 달라고 했다. 사진에 나온 인물들의 피부색을 옅음(lighter)부터 짙은(darker) 여섯 단계로 구분했다. 현재 기준으로 보면 4~6단계를 흑인 혹은 유색인종으로 분류한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대부분인 70%가 짙은 색 피부를 가진 이들이었다. 백인으로 칠 수 있는 이들은 30%에 불과했다. 흑인 피가 한 방울이라도 섞여 있으면 아무리 피부가 희다고 해도 흑인이라는 ‘원 드롭 룰(one drop rule)’을 외치는 이들이 있기는 하다. 그런 관념이 섞인 판단을 넘어 사진으로만 가르면,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하는 이들의 70%는 흑인이나 유색인종으로 바오슬롯는 제시한다. 실상은 완벽히 거꾸로 70%의 점원이 백인이라고 한다.

블룸버그에서 이 실험을 할 때, 패스트푸드점은 저임금 저학력자가 하는 단순노동의 대표로 선정했다. 그 반대편의 직업으로 의사(doctor)를 가지고 똑같이 컬러 이미지를 뽑으라고 했다. 아래가 그 결과이다. 86%가 옅은 피부색을 가진 이들로 나왔다. 여기서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이 있다. 사진의 인물 중 여성이 몇 명이나 되는지 보라. 6명, 남녀를 함께 넣은 사진을 쳐도 6.5명이다. 10% 정도로 나온다는 이야기인데, 미국의학협회(American Medicine Association)의 2021년 발표에 따르면 미국 의사의 37%가 여성이라고 한다.

2025년이면 인터넷상의 문서나 그림 등의 90% 이상이 바오슬롯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블룸버그의 실험에서 확연하게 드러나는 것처럼 스테레오타입을 반영한 결과물들이 바오슬롯에 의하여 양산되고, 그것들에 기초하여 계속 재생산되는 산출물들이 온라인 공간을 채우면 그런 편견은 더욱 공고하게 된다. 그래서 인간의 수고를 덜어주고, 더욱 다양한 사고와 시각적 이미지를 만드는 게 아니라 단일화시키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는 무서운 반전의 시나리오가 나온다. 오싹하다.
바오슬롯매드타임스 대기자, 서경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