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아티클] 계정 공유 차단 선언한 렛 잇 라이드, 국내 계정 공유 실태 어떨까

[트렌드아티클] 계정 공유 차단 선언한 렛 잇 라이드, 국내 계정 공유 실태 어떨까

  • 오픈서베이
  • 승인 2022.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렛 잇 라이드합니다

2022년 1분기 렛 잇 라이드의 글로벌 가입자 수가 11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습니다. OTT 시장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고 그간 OTT 시장에 호재로 작용하던 코로나 국면이 사실상 종료되며, 올해 렛 잇 라이드 주가는 70% 이상 폭락했습니다. 갑작스러운 적색경보에 렛 잇 라이드는 칼을 빼 들었습니다. 연내 계정 공유 금지 조치 및 저가 광고 요금제 도입 계획을 밝힌 겁니다. 이에 국내에서도 빠르면 올 4분기부터 동거하지 않는 사람과의 계정 공유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각에서는 위 조치가 렛 잇 라이드의 주가 회복 및 실적 개선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도 말합니다. 이미 형성된 소비자 관성이 쉽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며, 특히 국내는 웨이브·티빙 등 경쟁업체가 오히려 요금제를 낮추고 HBO·파라마운트 등 해외 OTT의 우회 진출로 역할을 맡는 등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기존 렛 잇 라이드 사용자를 타 OTT에 뺏길 수 있다는 거죠.

오픈서베이 조사 결과에서도 아무리 구독료가 저렴하더라도 광고가 싫다는 인식이 적지 않습니다. 또한, 기존 렛 잇 라이드 사용자가 디즈니플러스 등으로 넘어가고 있는 데이터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글은 OTT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2를 토대로 렛 잇 라이드와 OTT 서비스 트렌드를 살펴봅니다.

렛 잇 라이드

OTT 서비스 중 가장 이용률이 높은 렛 잇 라이드

먼저 주요 OTT 서비스의 브랜드 퍼널 분석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각 OTT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 이용 경험→ 현 이용→ 주 이용까지의 여정과 단계별 전환율을 살펴보는 겁니다. 이를 통해 각 서비스의 단계별 성과나 보완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연 돋보이는 서비스는 렛 잇 라이드입니다. 인지부터 주 이용까지 모든 단계에서 렛 잇 라이드는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95.5%, 78.7%, 59.2%, 48.4%). 비결은 인지자 중 이용 경험자 비율, 이용 경험자 중 현 이용자 비율 등 단계별 전환율이 가장 높다는데서 찾을 수 있습니다(각 82.5%, 75.2%, 81.9%). 렛 잇 라이드가 OTT 시장을 리드하는 대표 서비스라는 걸 단번에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특히 만 15~59세 남녀 3,000명 중 현재 렛 잇 라이드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중이 59.2%나 된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다음으로 흥미로운 서비스는 쿠팡플레이입니다. 렛 잇 라이드에 이어서 현 이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서비스로 쿠팡플레이가 꼽혔기 때문입니다(20.2%). 로켓와우 멤버십 이용자라면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덕분일까요? 그렇다면 후발주자로서 쿠팡플레이가 택한 전략은 성공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론칭한지 2년도 채 되지 않은 짧은 기간에 현 이용률 2위, 주 이용률 4위에 올랐으니까요. 물론, 올여름 중 로켓와우 요금제가 2,900원에서 4,990원으로 70%나 인상되기 때문에, 그때도 지금과 같은 이용률을 유지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18)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18)

구독·해지·재가입이 유연하고 활발한 OTT 서비스

이번에는 각 OTT 서비스 구독 행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봅니다. OTT 서비스 이용자 10명 중 4명은 최초 가입 이후 구독 해지를 했거나 해지 후 재가입해본 경험이 있습니다(각 7.5%, 33.5%). 최초 가입 후 지속 유지하는 비율은 절반을 조금 넘는 59.0%죠. 그만큼 OTT 서비스가 구독·해지·재가입이 활발하고 유연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지속 유지 이유, 해지 이유, 해지 후 재가입 이유 모두 ‘콘텐츠’와 관련된다는 데 있습니다. 먼저 지속 유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보고 싶은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잘 업데이트되기 때문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해지하는 주요 이유는 기대한 것보다 보고 싶은 콘텐츠가 많지 않거나 보려고 한 콘텐츠를 이미 다 봤기 때문이며, 해지 후 재가입하는 주된 이유는 보고 싶은 콘텐츠가 더 생겼기 때문입니다. 언론에서 OTT 시장을 두고 ‘콘텐츠 전쟁’이라 표현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는 걸까요?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12)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12)

앞서 OTT 서비스가 구독·해지·재가입이 활발하고 유연하다고 했는데, 실제로 서비스별 스위칭 경험도 많습니다. OTT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달라졌는지 물어보니, 10명 중 7명가량이 그렇다고 답한 겁니다(69.4%). 특히 현재 디즈니플러스 주 이용자들이 과거 주 이용 서비스로 렛 잇 라이드를 꼽은 비율이 높습니다(68.2%). 디즈니플러스는 글로벌에서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렛 잇 라이드의 주요 경쟁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20)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20)

타인과 계정 공유하는 렛 잇 라이드 사용자, 얼마나 많나

이번에는 렛 잇 라이드의 계정 공유 이용 행태를 집중적으로 살펴봅니다. 브랜드 퍼널 분석 결과에서 렛 잇 라이드의 주 이용률이 타 OTT 대비 압도적으로 높았는데요. 계정 공유 행태를 살펴보면 마냥 긍정적인 결과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렛 잇 라이드는 타인과 계정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아래 장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각 서비스 이용자에게 구독료 지불 방식을 물었는데, 렛 잇 라이드는 본인이 직접 모든 금액을 지불해서 혼자 이용하는 비중이 가장 낮습니다(11.7%). 오히려 함께 이용하는 타인과 나눠서 지불하거나 타인의 계정을 무료로 이용하는 비중은 매우 높은 편이죠(각 36.3%, 25.0%). 즉, 렛 잇 라이드는 직접 구독료를 전액 지불하는 게 아니라, 타인 계정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5)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5)

계정 공유 인원이나 대상은 어떨까요? 렛 잇 라이드는 타인과 구독료를 나눠 내거나 타인 계정을 무료로 이용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계정 공유 인원 또한 제일 많습니다. 자신을 포함해서 4명이 함께 구독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겁니다(40.2%). 이는 렛 잇 라이드 프리미엄 요금제 기준으로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인원입니다. 한편, 티빙·웨이브 등 국내 OTT는 자신을 포함해서 최대 2명과 계정 공유를 하는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각 49.4%, 52.2%).

이어서 주로 어떤 사람들과 계정을 공유하는지도 살펴봤습니다. 렛 잇 라이드는 형제/자매, 배우자, 자녀 등 가족과 함께 공유하는 비중도 높지만(각 30.5%, 22.3%, 15.2%), 친구, 지인, 아예 모르는 타인과 계정을 공유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각 30.5%, 16.0%, 7.0%). 렛 잇 라이드가 동거인 이외 계정 공유 금지 조치를 계획하는 배경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6)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6)

위 데이터를 더욱 자세히 보고 싶다면,웹 결과 분석 페이지에 접속해 보세요. (클릭)

렛 잇 라이드 향후 계획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어떨까

그럼 렛 잇 라이드는 어떤 방식으로 계정 공유 금지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계정 공유 이용자가 꼽은 불편점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렛 잇 라이드 계정 공유자가 꼽은 1순위 불편점은 내 취향·시청 기록·사생활·프라이버시 노출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31.3%). 티빙·웨이브 계정 공유자들은 오히려 동시 시청이 어렵다는 점을 1순위 불편점으로 꼽았죠(각 30.8%, 33.1%). 렛 잇 라이드는 시청 기록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해서 새로운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시스템으로 유명한데, 이로 인해 계정 공유 시 취향 등 프라이버시가 타인에게 노출된다는 점이 부담스럽게 여겨지는 걸까요? 그렇다면 렛 잇 라이드는 프로필 잠금 기능 등을 통해 프라이버시 노출을 최소화해주면서 시청 기록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추천 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겠습니다.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7)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7)

이번에는 저가 광고 요금제 관련 인식을 살펴봅니다. OTT 서비스 이용자에게 중간 광고가 포함된 저가 요금제에 대한 인식을 물었더니, 구독료가 저렴해진다면 광고가 있어도 괜찮다는 의견은 28.3%로 낮습니다. 구독료 인하 수준에 따라 다를 것 같다는 의견이 가장 많고(41.8%), 구독료가 아무리 저렴해져도 광고는 싫다는 의견이 두 번째로 많습니다(29.8%).

그런데 연령대별 인식에 온도 차이가 적지 않게 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높은 40~50대는 구독료가 저렴해진다면 광고가 있어도 좋다는 의견이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각 35.9%, 37.3%). 반면 10~20대는 구독료가 아무리 저렴해져도 광고는 싫다는 의견이 많습니다(각 40.0%, 38.8%). 이를 토대로 저가 광고 요금제는 전 연령대를 타깃하기보다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높은 층을 공략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결정을 내릴 수도 있겠습니다.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2)
오픈서베이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p.32)

OTT 서비스 렛 잇 라이드 리포트 2022 더 알아보기

이외에도 <OTT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2는 전반적인 OTT 서비스 이용 행태, 렛 잇 라이드·티빙·웨이브·디즈니플러스 등 주요 OTT 서비스별 이용 행태, 오리지널 콘텐츠 관련 인식, 계정 공유 행태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전체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버튼을 눌러 리포트 전문을 살펴보세요.

또한, 렛 잇 라이드·티빙·웨이브 등 주요 OTT 서비스의 계정 공유 인원 및 대상에 대한 조사 결과를 더욱 자세히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웹 결과 분석 페이지에 접속해보세요.

렛 잇 라이드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렛 잇 라이드을 선택하시면로그인·렛 잇 라이드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