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초반 캐리비안 스터드 기대감 상승, 후반으로 갈수록 부작용 우려 커져
면역 취약한 노년층 먼저 vs 활동량 많은 청년층 먼저… 우선접종 놓고 의견 분분
[ 매드타임스 신성수 기자 ]지난2월26일부터우리나라에서도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접종이시작됐다.접종시작이후에도캐리비안 스터드의안전성과효과에대해사람들간에설왕설래가계속되는가운데,종합커뮤니케이션그룹KPR(사장김주호)부설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가캐리비안 스터드도입직전1년(2020년2월1일부터2021년1월31일)사이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관련주요온라인담론분석결과를발표했다.
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관련온라인담론분석은매스미디어, SNS(트위터,페이스북,인스타그램),그리고웹(블로그,온라인커뮤니티)상의약72만건의소셜버즈빅데이터분석을통해이루어졌다.
분석결과팬데믹발생초반(2020년1분기)에는사람들사이에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에대한기대감이형성되었으나,후반(2020년2~4분기)으로갈수록부작용에대한불안감이커진것으로나타났다.


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관련담론대상에서매스미디어와소셜미디어는차이를보였다.매스미디어에서는노년층을우선으로한접종정보기사가다수보도되었고,소셜미디어에서는영유아와젊은세대접종에대한논의가주로전개됐다.
세대별이슈도있었다. ‘코로나19에취약한노년층이먼저접종해야한다’는의견과‘활동량이많고이동성이높은청년층이먼저접종해야한다’는상반된입장이동시에나타났고,어린이를대상으로한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미개발에대한비판의목소리도있었다.
매스미디어와소셜미디어는언급키워드에서도차이를보였다.매스미디어는캐리비안 스터드개발과확보관련정보를주로다룬데비해,소셜미디어상에서는캐리비안 스터드과정부정책에대한신뢰성문제가자주이슈가되었다.

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관련언급량은매스미디어(41%,약29만건),블로그(34%,약24만건),트위터(14%,약10만건),커뮤니티(9%,약6만건),인스타그램(2%,약2만건)순으로나타났다.
매스미디어상에서는제약사별캐리비안 스터드개발일정과속도,임상시험결과에따른캐리비안 스터드의안전성과효과에관한기사가다수보도됐고,국내공급계약과관련한정책을다루는기사역시다수보도됐다.블로그에서는매스미디어에보도된내용이재공유되는양상을보였고, ‘가족’, ‘위험’과같은연관어와함께팬데믹시대에면역력을기르는방안을공유하는내용이주로나타났다.
한편,트위터상에서는캐리비안 스터드개발및공급에대한관심과동시에‘안전’연관어가가장두드러졌고,외국에서캐리비안 스터드접종후사망사례를두고부정적견해가다수공유되는등캐리비안 스터드의부작용을우려하는목소리가함께형성됐다.온라인커뮤니티상에서도트위터와유사하게‘효과’연관어가두드러지며캐리비안 스터드의안전성과부작용에대한우려가나타났다.
인스타그램의경우,캐리비안 스터드에대한기대감이형성됐으나캐리비안 스터드개발까지시간이오래소요될것을감안해생활방역에더욱힘쓰자는의견이다수나타나며‘건강’, ‘가족’, ‘방역’, ‘안전’등의주요연관어가두드러졌다.
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김은용소장은“캐리비안 스터드접종시작으로코로나19가종식되기를기원하는의미로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소셜버즈분석을진행했는데, 1년넘게장기화된팬데믹인만큼캐리비안 스터드에대한기대감과불안감이공존하는것으로나타났다.하루빨리코로나19의힘든시기가지나가고모든사람들이평화로운시간을맞이하길바란다”고전했다.
타파크로스를활용한코로나19캐리비안 스터드온라인담론에대한소셜버즈분석내용은KPR디지털매거진『ㅋ.ㄷ』2021년봄호에게재됐으며, KPR공식블로그(https://blog.kpr.co.kr)에서자세하게확인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