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다운로드와 소비자 지출 모두 감소, 경기 침체 및 인플레이션 여파
중국 더킹카지노 배급사, 국내 더킹카지노 소비자 지출 중 24%의 시장 점유율 차지
국내에선 RPG 장르가 1위, 하위 장르 중 ‘리니지W’를 포함한 MMORPG가 3.2조 원 기여
2022년 국내 더킹카지노 차트에선 다운로드와 소비자 지출 부문 모두 RPG 장르 앱들이 석권
국내 남녀로부터 가장 높은 MAU를 기록한 더킹카지노은 각각 ‘브롤스타즈’와 ‘로블록스’

[ 매드타임스 신성수 기자]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 data.ai(구 앱애니)가 ‘2023년 모바일 더킹카지노 현황’을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모바일 게이머들은 2022년 동안 900억 건의 더킹카지노 앱을 다운로드하고 1,100억 달러(한화 약 144조 원, 환율 매매기준율 =1,312원)를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의 모바일 더킹카지노 앱 다운로드 수는 작년 대비 8%의 성장세를 보이며 약 900억 건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했다. 구글플레이에서 가장 많은 다운로드 수를 기록한 인도는 무려 95억 건의 더킹카지노 앱을 다운로드 받았으며, 브라질(44억 건), 인도네시아(34억 건)가 그 뒤를 이었다. 해당 국가들을 포함한 아시아와 남미 시장은 앞으로 몇 년간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모바일 더킹카지노 개발사들과 투자자들에게 기회의 땅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전 세계 소비자 지출은 5% 감소했는데, 시장 다양화를 통해 다운로드 수는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에 모바일 소비자들이 더킹카지노 앱에 지갑을 이전처럼 자주 열지 않게 되면서 감소 추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더킹카지노들 중에서는 유명 IP의 더킹카지노인 ‘디아블로 이모탈’과 ‘에이펙스 레전드 모바일’이 콘솔과 유사한 수준의 그래픽과 더킹카지노플레이 경험을 제공하며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과 지출을 이끌어 냈으며, 오픈 월드 RPG로 히트를 친 ‘원신’이 2022년 2분기에 30억 달러(3.9조 원)의 인앱 지출액을 달성하면서 소비자 지출 부문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확인된다.

대한민국도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아 2021년 대비 5억 달러(6,560억 원)의 소비자 지출이 감소하며 더킹카지노에는 53억 달러(7조 원)을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 세계 통계와 다른 점이 있다면 다운로드 수 또한 감소했다는 점이다. 국내 다운로드 수는 더킹카지노에 작년 대비 7,000만 건이 감소한 5.1억 건을 기록했으며 이와 같이 작년에 다운로드 수가 감소한 국가에는 미국, 태국, 일본, 프랑스, 영국,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있다. 많은 국가들에서 다운로드 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다운로드 수가 성장한 데에는 남미 지역(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과 아시아 일부 지역(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의 폭넓은 성장이 배경에 있다.

중국의 모바일 더킹카지노 시장은 지난 몇 년간 급격한 성장을 거두며 세계 최대 규모의 더킹카지노 시장이 되었지만 경쟁과 규제가 증가하는 환경 속에서 다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중국에 본사를 둔 더킹카지노 배급사(퍼블리셔)들은 해외 시장에서 폭넓은 확장 및 수익화를 통해 성공을 거뒀으며, 이 중 중국 배급사가 가장 성공적으로 진출한 시장인 일본에서는 작년 시장 점유율의 거의 4분의 1을 중국 배급사가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중국 배급사들은 눈에 띌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더킹카지노에는 중국 배급사가 국내 시장의 무려 4분의 1에 준하는 24%(1.7조 원)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51%(3.5조 원)의 시장 점유율을 가진 국내 배급사 소비자 지출액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로 중국 배급사들이 해외 시장에서 보이는 막대한 영향력을 국내에서도 여지없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모바일 더킹카지노 현황 보고서에서는 연령대별 선호 더킹카지노 또한 확인할 수 있다. data.ai에 의하면, 국내 18-24세 유저들 사이에서 월간 활성 사용자가 가장 많은 더킹카지노은 ‘로블록스(ROBLOX)’로 확인되었다. 그 뒤로는 슈퍼셀의 ‘브롤스타즈’와 엔플라이스튜디오의 ‘무한의 계단’이 뒤를 잇고 있다. 순위권에 위치한 국내 개발사 더킹카지노 앱들을 살펴보면, 다음 그룹인 25-34세에서는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 1위, 컴투스의 ‘컴투스 프로야구 2021’이5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45세 이상 그룹에서는 네오위즈의 ‘피망 뉴맞고’와 NHN ‘한더킹카지노 신맞고’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높은 매출을 올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디아블로 이모탈’은 PC 버전의 전작들의 향수와 더불어 중년층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줄 수 있는 모바일이라는 신선한 플랫폼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는 메리트를 통해 2022년 한 해 동안 92만 건 다운로드 되며 MAU 또한 45세 이상 그룹에서 3위에 위치하게 되었다.

한편, 남녀별 통계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선호 더킹카지노 앱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국내 남성들은 작년에 브롤스타즈에서 가장 높은 월간 활성 사용자 수를 보여주며 국내에서 잘 알려진 슈퍼셀 IP가 특히 남성 유저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위에 위치한 넥슨의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또한 국내 출신의 앱으로 남성 유저들의 레이싱에 대한 열망을 잘 채워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여성 유저들 사이에서는 전 세계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로블록스에 이어, 국내 1,000만 다운로드를 넘어선 무한의 계단, 그리고 올해 신작 IP 3종 출시를 앞둔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 킹덤’ 순으로 높은 활성 사용자 수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 지출 부문에서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1위를 차지한 RPG 장르는, 한 해 동안 36억 달러(4.7조 원)의 소비자 지출을 달성했다. RPG 장르에서 47%의 압도적인 기여를 한 하위 장르는 MMORPG로, 엔씨소프트의 ‘리니지W’를 필두로 국내에서 한 해 동안 25억 달러(3.2조 원)의 엄청난 금액의 소비자 지출액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의 장르가 인앱 구매액이 감소한 반면, 시뮬레이션 장르 더킹카지노은 2021년 대비 소비자 지출이 무려 39%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는 작년에 이슈몰이를 한 카카오더킹카지노즈의 ‘우마무스메 프리티더비’를 포함한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장르가 9,600만 달러(1,260억 원), 인기 더킹카지노 ‘로블록스’를 포함한 크리에이티브 샌드박스 장르가 7,100만 달러(932억 원)를 기여하며 큰 성장을 이뤄낸 것으로 보여진다.

2022년 다운로드 부문 상위 앱들 중에서는 지난 해 스팀의 인기작 ‘뱀파이어 서바이버즈’와 유사한 모바일 로그라이크 ARPG 더킹카지노 ‘탕탕특공대(Survivor.io)’가 336만 다운로드 수로 1위를 차지했으며, 포켓몬 고(211만 건), 아르케랜드(181만 건)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 지출 부문에서는 상위 10개 앱 중 8개 앱이 RPG 장르, 그리고 그 중 6개 앱은 MMORPG 장르로, 국내에서는 계속해서 MMORPG가 지출 부문에서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소비자 지출 상위 앱에는 리니지 시리즈 3종과 ‘오딘: 발할라 라이징’,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등이 자리했다.
데이비드 김 data.ai APAC 총괄은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 속 어려운 상황에서도 모바일 더킹카지노 시장은 점점 다양화된 전략과 함께 진보된 기술과 더킹카지노성을 통해 유저들의 니즈를 만족시키려 노력한다”며, “하나의 대체 불가능한 플랫폼이 된 모바일에서 소비자들은 더욱 더 발전하는 모바일 더킹카지노 앱을 경험하며 즐거움을 찾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