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모니터] "유통홀덤 핸드 대신 소비홀덤 핸드"... 식품 낭비 줄겠지만, 혼선 우려도 적지 않아

조사 기간: 2022년 12월 16일 ~ 12월 20일 조사 대상: 최근 1~2개월 내 식품 소비(섭취) 경험이 있는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2022-12-31채성숙 기자

[ 매드타임스 채성숙 기자]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최근 1~2개월 내 식품 소비(섭취) 경험이 있는 전국의 만 19~59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품 소비’ 패턴 및 ‘소비홀덤 핸드 표시제’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많은 소비자들이 유통홀덤 핸드 경과 식품에 찜찜함을 느끼기는 하지만 구매나 섭취엔 큰 지장이 없다고 평가하고 내년부터 시행되는 ‘소비홀덤 핸드 표시제’의 필요성과 취지에 대부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1.1% “최근 물가 상승으로 식비 부담 체감”...식품 가격만큼 유통홀덤 핸드 고려하여 구매하는 편

평소 식품 구매 패턴을 살펴보면 한 달 생활비 중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30%(26.0%)나 30~40%(26.7%) 수준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7명(71.1%)이 최근 물가 상승에 따른 식비 부담을 토로하고 있었으며, 식품 구매 시 가격(69.6%, 중복응답)과 맛(57.9%), 유통홀덤 핸드(45.6%) 등을 주로 따져보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의 경우 가격과 후기를 더 고려했고, 고연령층 응답자일수록 유통홀덤 핸드과 원산지 등을 비교적 더 신경 쓰는 편이었다. 다만 식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국산 표시가 되어 있더라도 국산 제품이 아닐 가능성(77.2%, 동의율)이 있고, 가급적 중국산 제품은 구매하지 않는다(82.7%)는 인식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대체로 식품을 구매할 때는 온라인 쇼핑(39.0%)보단 오프라인 매장(61.0%)을 더 자주 이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식품을 구매할 땐 저렴하면서 양이 많은 가성비 제품(60.3%)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해볼 만한 점은 저렴한 가격만큼 유통홀덤 핸드이 여유 있는 제품(46.1%)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구매한다는 점이었는데, 아무래도 식품류의 경우 건강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꼼꼼하게 섭취 기간을 챙기는 것으로 풀이해볼 수 있었다. 실제, 제품 상태가 멀쩡하더라도 유통홀덤 핸드이 지났다면 왠지 찜찜하고 껄끄러운 느낌이 든다(81.3%, 동의율)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83.3% “유통홀덤 핸드 조금 지나도 먹는 데엔 지장 없어”...77.1% “저렴하다면 유통 홀덤 핸드 임박 상품이라도 구매 고려”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유통홀덤 핸드과 섭취 가능 여부를 분리해서 생각하는 경향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물론 유통홀덤 핸드이 지난 상품이라면 절대 판매해선 안 되고(81.3%, 동의율), 영유아나 노년층에겐 더 위험할 수 있다(81.1%)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긴 했지만, 유통홀덤 핸드이 지난 식품일지라도 제품군에 따라 얼마든지 섭취가 가능하다는 인식이 강한 편이었다. 유통홀덤 핸드이 조금 지났더라도 먹을 수 있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있고(92.9%, 동의율) 먹어도 괜찮은 제품이 있기 마련(90.3%)이며 유통홀덤 핸드을 너무 따지다 보면 섭취 가능한 음식도 불필요하게 버려질 수 있는 만큼(86.0%) 먹어도 크게 문제될 게 없다(83.3%)는 태도가 뚜렷했다. 특히 평소 유통홀덤 핸드이 얼마 남지 않은 제품은 잘 구매하지 않는다(59.6%, 동의율)는 응답이 많았으나 만약 저렴하게 할인 판매하는 경우라면 구매를 고려하게 된다(77.1%)는 인식이 눈에 띄는 대목이었다. 유통홀덤 핸드 임박 할인 상품 중에선 식빵/빵류(31.6%, 중복응답)와 우유/두유 등 유제품(30.7%) 구매 경험이 많은 편이었고, 향후 고물가 시기와 맞물려 유통홀덤 핸드 임박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고려가 늘어날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심스레 전망해볼 수 있었다.

한편, 유통홀덤 핸드 경과 식품에 대한 섭취 가능 여부는 소비자가 직접 판단할 일(73.5%, 동의율)이긴 하지만, 이를 소비자 스스로 판단하기란 사실상 어렵다(74.7%)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유통홀덤 핸드이 임박했지만 버리기 아까워 섭취했거나 곧장 폐홀덤 핸드 식품으로 우유/두유나 식빵/빵류, 해산물 등과 같이 비교적 육안이나 냄새 등으로 상태 확인이 용이한 제품을 많이 꼽았다는 점은 주목해볼 만한 부분이었다. 소비자 입장에선 결국 유통홀덤 핸드에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는 부분으로, 유통홀덤 핸드이 지난 식품은 폐기(56.0%, 동의율)해야 하거나 변질될 제품으로 봐야 한다(52.8%)는 인식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으로 보였다.

78.4% “소비홀덤 핸드 표시제 시행에 찬성하는 입장”...”식품 낭비 줄 것” 기대감 높지만, 혼란 예상 우려도

내년 1월 1일부터 기존 ‘유통홀덤 핸드 표시제’에서 새롭게 개편되는 ‘소비홀덤 핸드 표시제’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36.7%)는 높지 않았다. 당장 새해부터 시행되는 제도임에도 충분한 홍보가 이뤄지지 않은 것 같다(90.3%, 동의율)는 응답이 지배적이었으며, 오히려 기존의 유통홀덤 핸드 표시제가 더 효과적일 것 같다(40.5%, 동의율)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8명(78.4%)이 소비홀덤 핸드 표시제 시행에 찬성 의사를 드러냈고, 전체 77.7%는 더 일찍 시행되었어야 하는 제도라고 평가하고 있었다. 특히 앞으로 소비홀덤 핸드 표시제가 시행된다면 찜찜해서 버리게 되는 식품이 줄어들 것(86.9%, 동의율) 같고, 이전보다 섭취 가능 기간이 명확해져 불필요한 음식 낭비가 줄어들 것 같다(86.5%)는 기대가 강했다.

반면, 소비 홀덤 핸드이 늘어난 만큼 더 빨리 먹어야 할 것(75.6%, 동의율) 같고, 기존 유통홀덤 핸드보다 기간이 크게 늘어난 점이 왠지 불안한 데다(48.4%) 식당 등 개인 차원에서 잘 지킬 수 있을지 걱정된다(91.0%)는 우려의 시선도 많았다. 나아가 소비홀덤 핸드만 단독으로 표기할 경우 소비자의 혼란이나 불안이 가중될 수 있는 만큼(74.6%, 동의율) 당분간이라도 유통홀덤 핸드과 소비홀덤 핸드을 모두 표기하는 게 좋을 것 같다(87.0%)는 응답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였다.